2025년 10월 27일, Apache Software Foundation은 Tomcat의 CVE-2025-55752와 CVE-2025-55754를 공개했다. CVE-2025-55752는 Rewrite Valve 구성에서 보호 디렉터리 접근을 우회하게 만드는 회귀 이슈로 환경에 따라 원격 코드 실행(RCE)으로 확대될 수 있으며, CVE-2025-55754는 조작된 URL을 사용하여 ANSI 이스케이프 시퀀스를 삽입하여 콘솔과 클립보드를 조작하고 관리자를 속여 공격자가 제어하는 문제다. 이러한 문제는 각각 회귀(regression) 이슈와 이스케이프되지 않은 시퀀스 처리 미흡에서 비롯된 것으로 서버가 무단 액세스 및 제어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엔터프라이즈 환경에서는 즉각적인 패치 적용을 권고한다.
| 취약점 | CVE-2025-55752 |
|---|---|
| 취약점 공개일 | 2025년 10월 27일 |
| 취약점 점수(CVSS) | 7.5 (High) |
| 설명 | Rewrite Valve 사용 환경에서 정규화가 디코딩보다 먼저 수행되는 회귀(regression)로, 쿼리 파라미터를 URL로 재작성하는 규칙에서 /WEB-INF/, /META-INF/등 보호 경로 우회가 가능 |
| 취약점 | CVE-2025-55754 |
|---|---|
| 취약점 공개일 | 2025년 10월 27일 |
| 취약점 점수(CVSS) | 9.6 (Critical) |
| 설명 | 조작된 URL을 사용하여 ANSI 이스케이프 시퀀스를 삽입 |
| 이후, 콘솔과 클립보드를 조작하고, 관리자를 속여 공격자가 제어하는 명령어를 실행하도록 시도 가능 | |
| 취약점 영향 버전 | Tomcat 11.0.0-M1~11.0.10, 10.1.0-M1~10.1.44, 9.0.40~9.0.108 |
| (EOL 8.5.60~8.5.100도 영향) | |
| 악용 가능성 | * 특정 환경에서 악용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
📎 https://www.cve.org/CVERecord?id=CVE-2025-55752
📎https://nvd.nist.gov/vuln/detail/CVE-2025-55752
📎 https://nvd.nist.gov/vuln/detail/CVE-2025-55754
📎 https://cybersecuritynews.com/apache-tomcat-security-vulnerabilities/